DeadLock?
-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서로 자원을 얻지 못해서 다음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태
- 무한히 다음 자원을 기다리게 되는 상태
- 시스템적으로 한정된 자원을 여러 곳에서 사용하려고 할 때 발생한다.
DeadLock의 발생 이유
- 프로세스1과 프로세스2가 자원1, 2를 모두 얻어야 하는 경우
- t1 : 프로세스 1이 자원 1을 얻음 / 프로세스 2가 자원 2를 얻음
- t2 : 프로세스 1은 자원 2를 기다림 / 프로세스 2는 자원 1을 기다림
- 현재 서로 원하는 자원이 상대방에게 할당되어 두 프로세스는 무한히 wait 상태에 빠짐
- DeadLock 발생
- 주로 발생하는 이유
- 멀티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한정된 자원을 얻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상황 발생
- 한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했을 때, 동시에 그 자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
- 이때 프로세스는 대기 상태에 들어감
- 대기 상태에 들어간 프로세스들이 실행 상태로 변경될 수 없을 때 교착 상태 발생
DeadLock의 발생 조건
- DeadLock이 발생하기 위한 조건은 4가지가 있다.
- 상호 배제(Mutual exclusion)
- 한번에 프로세스 하나만 해당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.
- 사용 중인 자원을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하려면 요청한 자원이 해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.
- 점유 대기(Hold and wait)
- 자원을 최소한 하나 보유하고,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점유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존재해야 한다.
- 비선점(No preemption)
- 이미 할당된 자원을 강제로 빼았을 수 없다
- 순환 대기(Circular wait)
- 대기 프로세스의 집합이 순환 형태로 자원을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.
DeadLock 해결방법
- DeadLock의 해결법은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.
-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(prevention)하기
- 데드락 발생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적절하게 회피(avoidance)하기
- 데드락 발생을 허용하지만 데드락을 탐지(detection)하여, 데드락에서 회복하기
- 데드락은 정말 드물게 발생하므로 예방 또는 회피, 탐지를 하며 오버헤드를 발생시키는 것 보다 교착 상태를 발생시키고 필요에 따라 재부팅을 하는 무시(ignore) 방법
교착 상태 예방(Prevention)
- 교착 상태의 발생 조건 4가지 중 하나라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예방하는 방법
- 각각의 조건을 방지하여 데드락 발생 가능성을 차단
- 조건을 방지해서 데드락을 예방하는 방법은 시스템의 처리량이나 효율성을 떨어트리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음
- 상호 배제 부정
- 한 번에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
- 추후 동기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
- 점유 대기 부정
- 프로세스 실행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한번에 요구하고 허용할 때까지 작업을 보류
- 나중에 또다른 자원을 점유하기 위한 대기 조건을 성립하지 않도록 함
- 자원 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, 기아 상태에 빠질 수 있음
- 비선점 부정
- 이미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의 선점권이 없다고 가정할 때 높은 우선순위의 프로세스가 해당 자원을 선점할 수 있도록 함
- 프로세스가 할당받을 수 없는 자원을 요청한 경우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자원을 모두 반납하고 새 자원과 이전 자원을 소유할 수 있도록 대기 (자원 낭비 발생)
- 순환 대기 부정
- 자원을 순환 형태로 대기하지 않도록 일정한 한쪽 방향으로만 자원을 요구하도록 한다.
교착 상태 회피(Avoidance)
- 교착 상태가 발생하기 전 교착 상태를 예상하여 안전한 상태(Safe State)에서만 자원 요청을 허용하는 방법
- 자원을 할당한 후에도 시스템이 항상 Safe state에 있을 수 있도록 할당을 허용하자는 것이 기본 특징
- 자원을 신중하게 할당하면 교착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.
- 특정한 순서로 프로세스들에게 자원을 할당, 실행 및 종료 등의 작업을 할 때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는 순서를 찾을 수 있다면, 그것을 안전 순서(safe sequence)라고 부른다.
- 교착 상태 회피를 위한 가정
- 프로세스의 수가 고정되어 있어야 함
- 자원의 종류와 수가 고정되어 있어야 함
-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자원 및 최대 자원의 수를 알아야 함
- 프로세스는 반드시 자원을 사용 후 반납해야 함
- 교착 상태 회피를 위한 가정들은 현실성이 부족함
- 자원 요청이 있을 때마다 회피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은 엄청난 오버헤드가 발생함
Safe State
- Safe Sequence가 존재하여 모든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있는 상태
- Safe Sequence는 교착 상태를 발생 시키지 않고 자원을 할당하는 순서를 의미
Unsafe State
- 교착 상태가 될 수 있는 상태
- Unsafe State가 되었다고 반드시 데드락이 되는 것이 아님
은행원 알고리즘(Banker's Algorithm)
- 다익스트라가 제안한 기법
- 은행에서 모든 고객의 요구가 충족되도록 현금을 할당하는데서 유래
- 어떤 자원의 할당을 허용하는지에 관한 여부를 결정하기 전 미리 결정된 모든 자원들의 최대 가능성 할당량을 가지고 Safe State에 들 수 있는지 여부를 검사
- 안정 상태면 자원을 할당하고, 아니면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 해지를 대기
자원 할당 그래프 알고리즘(Resource-Allocation Graph Algorithm)
- 자원과 프로세스에 대해 요청 간선과 할당 간선을 적용하여 교착 상태를 회피하는 알고리즘
- 프로세스가 자원 요청 시 요청 간선을 할당 간선으로 변경했을 때 사이클이 형성되는지 확인
- 사이클이 생성된다고 하여 무조건 교착 상태인 것은 아님
- 자원에 하나의 인스턴스만 존재 시 교착 상태로 판정
- 자원에 여러 인스턴스가 존재 시 교착 상태 가능성으로 판정
- 사이클이 생성되지 않으면 자원을 할당
교착 상태 탐지(Detection) & 회복(Recovery)
- 예방이나 회피를 사용하지 않을 때, 데드락이 발생할 수 있으니 회복하기 위해 데드락을 탐지하고 회복하는 알고리즘 사용
- 교착 상태를 허용하고 발생하였다면 회복하는 방법
- 탐지
- 자원 할당 그래프를 통해 교착 상태를 탐지
- 자원 요청 시, 탐지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그에 의한 오버헤드가 발생
- 현재 시스템의 자원 할당 상태를 가지고 파악
- 회복
- 교착 상태를 이르킨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, 할당된 자원을 해제시켜 회복시키는 방법
- 프로세스 종료
- 교착 상태의 프로세스를 모두 중지
- 교착 상태가 제거될 때까지 하나씩 프로세스 중지
- 자원 선점 방법
- 교착 상태의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선점해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 (해당 프로세스는 중단)
- 우선 순위가 낮은 프로세스나 실행 횟수가 적은 프로세스 위주로 프로세스 자원 선점
출처
https://github.com/gyoogle/tech-interview-for-developer
https://yoongrammer.tistory.com/67
https://chanhuiseok.github.io/posts/cs-2/
'CS > 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perating System] Race Condition(경쟁 상태) (0) | 2024.04.08 |
---|---|
[Operating System] IPC(Inter Process Communication) (0) | 2024.04.08 |
[Operating System] CPU 스케줄링 (1) | 2024.04.08 |
[Operating System] Life Cycle (Process & Thread) (1) | 2024.04.06 |
[Operating System] Context Switching (0) | 2024.04.06 |